'일광절약시간'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6.01.24 표준시 by gaggle

표준시

:::gaggle's::: : 2016. 1. 24. 00:10

지난주 응팔이 끝났다. 응팔을 보진 않았지만 김창완의 청춘이란 노래를 가끔씩 구슬프게 귀동냥 할 수 있었다.

응답하라 1988” 생각해 보았다. 내게 1988년도의 기억이 어떤 게 있는지. 대학을 다닐 때였고, 굵직한 일로는 88올림픽이 있었다.

그 중 특이하게 기억에 남는 건 밤 9시가 되었는데도 대낮처럼 환했다는 것이다. 썸머타임(日光節約時間制, daylight saving time)을 실시하고 있었던 까닭이다. 올림픽이 열리던 1988년과 그 전년도인 19872년간 실시하고 다음해부터 중단되었다. 

작년에 시간에 관한 큰 이슈가 3가지 있었다.

먼저, 북한이 광복 70주년을 맞아 20158150시부터 標準時(표준시)를 변경했다. 현재의 東經(동경)135°에서 東經(동경)127.5°로 변경하여 30분이 늦춰졌다.[여기서 동경은 東京(도쿄)가 아니다.]

두 번째, 일본이 미군정 이후 처음으로 2015년에 썸머타임을 실시했다. 일본은 동서로 긴 나라이기에 썸머타임을 실시할 명분이 부족했는데 작년부터 실시하기 시작했다. 경기 진작을 위한 것도 있겠지만 2020년 올림픽 개최 때문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2015126일 기재부에서 썸머타임을 전혀 검토한 바 없다고 해명했다. 내수 활성화 차원에서 논의한 적은 있으나 공식적으로 검토된 적은 없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해방 후 이승만 정부 시절에 표준시를 127.5°로 변경하였다. 당시 광화문 앞에서 꽹과리 치며 시간의 광복도 얻었다며 축제의 분위기였다고 한다. (이때는 썸머타임도 실시하였다.) 그 후 박정희 정부가 들어서면서 다시 135°로 표준시가 변경되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동경 135°本初子午線(본초자오선)이 지나는 영국의 그리니치천문대, 協定世界時(협정세계시, UTC, Universal Time Coordinated)보다 9시간이 빠르다. 經度(경도) 15°마다 1시간 차이가 나므로 그렇다.(135°/15°=9)

대부분의 나라에서 본초자오선과 1시간 단위로 표준시를 정하고 있다. 인도 등 몇몇 국가는 30분 단위로 표준시를 정하고 있고, 네팔은 특이하게 15분 단위로 표준시를 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30분 뒤진 중국의 표준시 보다는 30분 앞선 일본의 표준시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1년 내내 30분의 썸머타임을 실시하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이다. 

이제 OECD국가 중 일본이 썸머타임을 실시함으로써 거의(?) 우리나라만 남게 되었다.(다른 한 나라인 아이슬란드는 백야현상으로 썸머타임 도입 자체가 의미 없다.) 중요한 것은 OECD 국가 중 한국만 남았다는 것이 아니라, 일본이 작년부터 시작했다는 것이다. 적어도 2020년 올림픽까지는 실시할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시간이 다르면 駐韓美軍(주한미군)駐日美軍(주일미군)을 통솔하는 미국의 極東司令部(극동사령부)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조만간 1988년이 응답(?)할 것 같다. 벌건 대낮같은 밤 9시를 구경할 날이 멀지 않았다.



Posted by gaggle